모비율($\pi$)은 모집단 전체에서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이며 고정된 값입니다. 상대도수($\hat{p}$)는 표본에서 해당사건이 일어난 횟수를 전체 표본 수로 나눈 값입니다. 상대도수는 모비율 추정량의 실현값입니다. 즉, 상대도수는 표본에서 관측된 모비율의 추정값입니다.
사건 A의 모비율
$$\pi=\mathrm{P}(A)$$
상대도수(표본비율)
$$\hat {p}=\dfrac{\text{사건A가 발생한 회수}}{\text{표본크기}}$$